HW2
인간컴퓨터상호작용 과제입니다.
1. Write a short “interface review”
이번엔 사진 정렬 프로그램을 가지고 리뷰를 해 보도록 하겠다. 교수님이 올려 주신 사이트에도 물론 좋은 프로그램들이 많지만 나는 내가 가진 갤럭시 S8의 기본 안드로이드 갤러리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해 리뷰해 보도록 하겠다.
Principal & Guide line
모바일 기기의 환경에서 리뷰하였기 때문에 Mobile UX Design Principles 중 갤러리 어플에 적절한 것을 골라 그것에 따라서 진행하였다.( https://uxplanet.org/mobile-ux-design-key-principles-dee1a632f9e6 )
-
1) Cut Out The Clutter
: 인터페이스가 복잡하지 않게 나타내어라.
2) Design Finger-friendly Tap-targets : 사용자가 쉽게 터치할 수 있도록 만들어라.
3) Design Controls Based on Hand Position : 사용자들이 손가락 하나로 편하게 쓸 수 있도록 해라.
위 사진들은 안드로이드에 기본적으로 들어있는 갤러리 어플을 capture한 것이다. 다른 어플을 사용하지 않는 이상 안드로이드 사용자들은 무조건 이 갤러리 어플을 사용하게 된다. 따라서Know the user 측면에서 모든 사용자들이 편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직관적인 디자인을 유지하고 있다. 전체적인 특징은 하나의 화면 안에서 사진/앨범/스토리/공유 탭을 마음대로 돌아다닐 수 있고, 어디서 사진이나 앨범을 관리할 지 명확하게 알 수 있기 때문에 즉, UI가 명백하고 consistency가 유지된다고 할 수 있다. 사진을 편집할 경우 다양한 효과들을 주고 만약 잘못 편집을 했거나 편집을 취소하고 싶다면 되돌리기 기능이 있어 Prevent error를 지킬 수 있게 해 준다. 그렇지만 사진을 실수로 지웠을 경우에는 IOS엔 휴지통 기능이 있어서 잘못 삭제한 사진들을 복원할 수 있지만, 안드로이드 같은 경우엔 휴지통 기능이 없어 이 부분에서 prevent error를 지킬 수 없게 된다. 사진 탭을 보면 사진을 찍은 것을 시간대에 따라서 그리드 형식으로 나열해 주고, 사진을 한번 누를 경우 확대를 할 수 있다. 손가락 두 개를 이용하여 벌리거나 당기면 하루 단위로 표시되던 사진들을 월 단위로 바꿀 수 있다. 오른쪽 상단의 점3개 버튼을 누르게 된다면 사진에 대한 추가 메뉴가 나타나게 되며 사진을 편집하는 기능 뿐만 아니라 GIF 제작 등 다양한 기능을 사용할 수 있게 된다. 사진을 손가락으로 꾸욱 누를 경우는 사진 선택 기능으로 전환이 되며 선택한 사진을 공유하거나 또는 삭제할 수 있게 된다. 앨범 탭에 들어가면 자신이 찍은 사진을 사용자가 원하는 앨범을 만들어서 쉽게 분류를 할 수 있게 한다. 또한 GPS기능을 On 해놓은 경우, 어떠한 사진을 어떠한 곳에서 찍었는지 앨범에 나오게 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쉽게 추억을 되살릴 수 있게 했다. 사진 탭과 마찬가지로 오른쪽 상단의 점3개 버튼을 누르게 된다면 앨범의 이름을 편집하거나, 들어 있는 사진을 다른 앨범으로 보낸다거나, 앨범을 삭제한다거나 등 추가적인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. 스토리 탭은 특별한 날/행사에서 찍었던 사진들을 보통의 앨범 탭에서보다 더 특별하게 관리할 수 있게 하고 앨범에는 없었던 타임라인대로 사진들을 정렬하는 기능이 있다.
Mental model
어떠한 제품을 제작하기 전에 Mental Model을 생각해 보는 것은 중요하다. 사용자가 어떠한 목적으로 이 제품을 사용할 것이며 사용자가 최대한 편안하게 사용하는 UI, UX는 어떤 측면일까를 생각해 보아야 한다. 처음에 나는 이러한 mental model을 작성해 보았다.
-
1. 사진을 편집한다.
2. 사진을 삭제한다.
3. 사진을 다른 사람과 공유한다.
4. 사진을 여러 개 선택한다.
5. 앨범을 만든다.
6. 앨범을 삭제한다.
7. 앨범의 이름을 변경한다.
8. 앨범에 사진을 넣거나, 뺀다.
2. Decision tree
많은 갤러리 어플리케이션으로 할 수 있는 작업이 있겠지만 여기서는 사용자들이 가장 많이 할 작업인 앨범 만드는 작업으로 Decision tree와 그에 따른 GOMS 모델을 적용해 보겠다.
3. Apply GOMS model
앨범을 만드는 작업은 이런 식으로 진행되고 이제 이 Decision tree에 따라서 GOMS Model을 적용하면 된다. 여기서는 새 앨범을 만드는 작업을 기준으로 GOMS Model을 적용시켜 보았다. 사진은 3개를 추가하고, 앨범의 이름은 A라고 한다.
-
1. 갤러리 어플리케이션 아이콘으로 손가락 이동 : P
2. 갤러리 어플리케이션 아이콘 탭으로 실행 : B
3. 오른쪽 상단의 점 3개로 손가락 이동 : P
4. 오른쪽 상단의 점 3개를 탭 : B
5. 앨범 추가 버튼으로 손가락 이동 : P
6. 앨범 추가 버튼을 탭 : B
7. 앨범의 이름을 입력하기 위해 A버튼 위로 손가락 이동 : P
8. A버튼 탭 : B
9. 추가 버튼으로 손가락 이동 : P
10. 추가 버튼 탭 : B
11. 사진 추가를 물어보는 창이 뜨면 추가 탭 : B
12. 원하는 사진으로 손가락 이동 : P * 3(사진을 3개 추가하므로)
13. 사진 탭 : B *3(사진을 3개 추가하므로)
14. 오른쪽 상단의 완료 버튼으로 손가락 이동 : P
15. 완료 버튼 탭 : B
4. Samsung Galaxy Note 9
S펜을 이용하여 PPT의 슬라이드를 넘긴다고 하자. 그렇다면 단계는 이렇게 될 것이다.
-
1. 슬라이드를 넘기기 위하여 펜을 노트에 접촉시킨다.
2. 노트에서는 이 접촉한 펜의 신호를 받아들여 CPU로 보낸다.
3. CPU는 이 펜의 신호를 받아들여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펜의 신호에 맞는 행동을 취한다. 여기서는 슬라이드를 넘기는 행동이 될 것이다.
4. 우리가 화면을 봤을 때 슬라이드가 넘어간다.